본문 바로가기

족저사마귀

발바닥(족저) 사마귀 빠르게 없애는 법!!!

반응형

발바닥(족저)에 뭔가 생겼는데, 그땐 신경 쓰지 않았으나, 어느날부터  다른 부위로 전이 되고,걸을 때 통증도 생기는걸

느끼며 심각성을 알게 되었답니다. 치료 가능 할까요??

----------------------------------------------------------------------------------------------------------

 

 

안녕하세요 노들담 한의원입니다. 

저희 노들담 한의원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의 과반수는 위의 글처럼  초기에 발바닥 (족저) 사마귀가 생길 때 크게 개의치 않았다고 합니다.  흔히 발생하는 티눈인 줄 알고, 티눈고를 붙이거나, 칼로 도려내거나, 약국에서 바르는 (베루말) 연고를 사용하는게 보편적 치료법이셨을 텐데요......

 

 

이렇듯 자가 치료를 하다 안 될경우 그때서야 병원을 간다고 합니다.


 저도 노들담 한의원에 근무하지 않았으면, 평생 모르고 지냈을 이름도 생소한 발바닥 사마귀 (정확한 명칭은 족저사마귀 입니 다.) 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 드릴까 합니다.

 

발바닥에 생기는  즉 족저 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에 의해 감염 된  바이러스 피부 질환이며,  우리 환자분들이 육안으로 확인 하는 방법은, 윗 부분을 살짝 긁어 냈을 때, 혈관이 보이면, 발바닥 (족저) 사마귀이고, 그렇지 않고 각질층만 보이면 티눈입니다. 

 

 

 

발바닥(족저) 사마귀는  위의 글처럼 바이러스에 감염 된 질환이기 때문에, 냉동치료나, 레이저 치료 처럼 1차적으로 사마귀를 제거 하는 방법은 근본적 치료법이 아니며,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자체가 저절로 자연 소멸 되어야  발바닥 사마귀가 또 다시 재발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면역력을 키워 인유두종 바이러스를 이겨 내야 할 텐데요.. 말처럼 쉽지많은 안더라고요

 

 

 

 

하지만 치료 경험이 많은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는다면 빠르게 나을 확률 또한 높아질텐데요,, 그렇다고  병원에만  의존하는 방법도 좋지 않습니다.  재차 말씀 드리면,  면역력 증강이 최우선 과제이기 때문에  환자분의 노력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약을 쓰고, 정성껏 치료를 해도  본인의 생활습관이 좋지 못하다면, 분명 치료는 더욱 오래 걸릴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발바닥 사마귀는  편평사마귀, 물사마귀, 곤지름 사마귀 등  몸에 생기는 사마귀들과 다르게  조직이  지면에 닿기 때문에 더욱 두껍고, 깊게 박혀 있어 치료 기간도 많이  걸리는 편입니다.

 

 

 

 

그러므로, 생활습관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몸에 나는 사마귀들은  운동을 할 때 조깅을 많이 권하는데요,, 발바닥 사마귀는 지면에 닿으면 자극이 되므로,  닿지 않는

자전거 타기,  수영 , 스트레칭 등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예전에 어떤 여성 환자분의 취미는 스케이트 타기 였는데요, 매일 한시간 이상 씩 탄다고 하시더라고요,  물론 타는게 좋지 않다고  말씀  드렸으나, 스케이트 없이는 못산다고, 본인은 꼭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면역력이 안좋은 상태이기도  했으나, 스케이트를 계속 타서 그런지,  6개월 동안 전혀 차도가 보이지 않았는데요,,

그때,  발바닥 사마귀를 위해  제발 몇개월만  다른 운동으로 대체 하라고 간곡히 부탁드렸습니다.  (환자분 치료에  진전이 없으면, 저희도 스트레스 많이 받아요. - -; )

 

 

 

 

그 후 쌓였던 면역력과,  생활 습관, 운동 습관을  바꾼지 2개월만에 완치 판정 받으셨는데요, 본인도 처음부터 하지 말라고 얘기했을 때 하지 말걸,, 그랬으면 더욱 빠르게 없어졌을 텐데,, 하고 아쉬워 하셨지만,  다행히 치료가 끝나서  기분좋게 돌아가셨던 기억이 납니다.

 

또하나 중요한 게 음식 섭취 입니다.

평소에 드셨던, 인스턴트, 밀가루, 기름진 음식 등은 자제하시고,  몸에 좋은 질 좋은 편식을 하시면, 발바닥(족저) 사마귀

빠르게 없어 질 수 있습니다.

 

 

 

사마귀 치료 외길  10년 노들담 한의원

 

 

 

 

 

 

 

 

 

 

 

 

 

반응형